본문 바로가기
독서

생각의 도약 책 서평 후기

by 쎄오K 2025. 4. 4.
반응형

* 현재의 학교교육은 '글라이더'형 양성에 중점. 수동적으로 지식을 얻는것일뿐

 

* 지도자가 있고 목표가 분명한 곳에서는 글라이더 능력이 높은 평가받지만,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려면 창의성 필요

 

* 생각은 맥주만드는 것과 비슷 ->아이디어와 소재만으로는 안됨/ 숙성되는 시간이 필요함

 

* 훌륭한 촉매라면 굳이 연결하려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기존의 것들이 합쳐진다.

 

* '지켜보는 냄비는 끓지 않는다'라는 말이 있다. 

 

* 생각할 때 너무 긴장해서는 안된다. 느긋하게 마음먹고 자유롭게 놔두기

 

*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끝에 결정했음에도 끝끝내 생각에 잠기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.

한동안 재우고 품어야한다. 재운다는 것은 중심부에서 풀리지 않은 일을 잠시 관심을 끄기위해 주변부로 옮긴다는 의미이다.

 

* 사고를 정리하려면 평면적이고 양적인 것보다 입체적이고 질적인 통합이 필요하다.

 

* 잊어버리는 것은 가치관에 따라 잊는 것이다.

 

* 가치관이 확고하지 않으면 소중한 것을 잊고 시시한 것을 기억하게 된다.

 

* 지식자체가 무언가를 만들기 어렵다.

 

* 지식의양이 일정한도 넘으면 포화상태

 

* 불필요한 지식은 점점 버려야 사고에 활력을 넣을 수 있다.

 

* 정보과잉 시대.

 

* 책을 많이 읽어서 많은 것을 알고 있지만, 그대로 머무는 이유는 자기 책임하에 정말로 재미있는 것과 일시적인 흥미를 구분하는 노력을 들이지 않기 때문이다.

 

* 지식의 재고를 끊임없이 재점검하고 임시적인 지식을 버려라

 

* 이윽고 불변의 지식만이 남게되면 그때 지식은 그 자체로 힘이다.

 

* 사고의 정리는 명사를 중심으로 한 제목이 만들어졌을때 완성된다.

 

* 무아지경, 산책, 목욕

 

* 수렴적 독서 = 정답을 얻기위한독서

* 확산적 독서 = 자신만의 새로운 해석을 만들어내는 것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